(결과보고) 21세기 유전체 연구의 미래 워크숍 (5/24(화) 16시, 2022 KSBMB 연계)
□ 행사 개요
○ 추진 계획
- (일시) 2022년 5월 24일(화) 16:10 ~ 20:00
- (장소) BEXCO 컨벤션홀 201 & 202
- (주최/주관) 과기정통부 포스트게놈사업연구단(PGRC)
- (참석 대상자) 포스트게놈사업 외부 전문가 (7인) 및 포스트게놈 과제수행 연구자 전체
- (참석자) 100명 내외
○ 주요 내용
Ⅰ 과기정통부 포스트게놈사업 21세기 유전체 연구의 미래 워크숍 개요
- 프로그램
구 분 | 시 간 | 성 명 | 소 속 | 내 용 |
좌장 | 16:10~16:15 (‘5) | 박종훈 | 숙명여자대학교 | 개회사 및 인사말 |
연사1 | 16:15~16:35 (‘20) | 김열홍 | 고려대학교 | 연사발표 1 |
연사2 | 16:35~16:55 (‘20) | 이상혁 | 이화여자대학교 | 연사발표 2 |
패널 | 16:55~17:40 (‘45) | 김인산 | 한국과학기술연구원 | 패널 토의 |
박웅양 | 삼성서울병원 | |||
노태영 | 포항공과대학교 | |||
최무림 | 서울대학교 | |||
고아라 | 포항공과대학교 | |||
참석자 | 17:40~18:20 (‘40) | 질의응답 및 자유의견 개진 | ||
좌장 | 18:20 | 박종훈 | 숙명여자대학교 | 폐회사 |
외부전문가 및 사업담당자 | 18:20~20:00 (’100) | 석식 및 자유토론 |
Ⅱ 21세기 유전체 연구의 미래 워크숍 주요 내용
① (연사발표 Ⅰ) 환자중심의 정밀의료
- 임상진료 현장 연계 데이터 확보 필요 (NGS 보험급여, 국내 분자진단 경쟁력 향상)
- 환자에게 신약 접근성 지원을 위한 임상시험 연계 필요 (글로벌 의뢰자 주도 임상시험 및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 활성화)
- 국내 제약회사의 지속적 신약개발 노력과 국가 지원
- 일반인과 환자의 미충족 수요를 해결하기 위한 사업화 확대
-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을 위한 장기간 투자 필요 (양질의 데이터는 단순한 수치뿐만이 아니라 장기간 꾸준한 노력의 결실로 연계되는 유용한 정보)
② (연사발표 Ⅱ) 포스트게놈사업 점검을 통한 유전체 연구방향성 제시
- (유전체 기술의 범용성) 병목해소를 위한 분석 인프라 지속적 지원 필요
- (유전체 기술의 첨단성) 첨단 신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한 새로운 주제에 대한 적절한 지원 확대
- (유전체 정보의 민감성) 정부부처의 각종 규제 완화 및 과감한 정보공개 노력 필요
- (공공연구기관의 인프라 역할 재평가) Data Coordination, curation 등을 위한 전문센터의 필요성 및 현 모습 점검
- (개인별/그룹별 창의적 기초연구 강조) 분야/주제별 특화된 대학거점 연구센터 및 주요 키워드ㆍ주제에 대한 지속적 지원 필요
- (대규모 데이터 생산) 활용성 높은 데이터 생산, 공유, 활용을 위한 치밀한 사전기획 (ex. TCGA, GTEx 등) 및 우리나라 고유의 가치를 발휘할 수 있는 대규모 데이터 생산 준비
③ 패널토의 (유전체 연구의 방향성)
- (지속가능한 연구) 단발성 연구에 대한 문제해결 및 연구목적(내용)에 중점을 둔 연계적 연구기획 필요
- 반복적 키워드는 중복연구가 아닌 축적연구로 패러다임 전환 필요, 지속적 기초연구 지원체계 마련
- (선택과 집중 (연구 우수성/창의성)) 전 R&D 연구에 대한 예타 시행여부 적절성 검토
- 우리나라 인구, 경쟁력 등에 맞는 연구목표 설정 및 연구별 대학거점 마련을 통한 연구역량 분배 집중 제시
- (인프라(데이터) 활용) 데이터 공개(open source)를 통한 연구데이터 활용성 확대
- 가능한 많은 연구자의 데이터 접촉을 위한 데이터 접근 허들 축소